상단영역

본문영역

  • 기자명 박성현 기자
  • 기고
  • 입력 2010.09.12 14:42

농식품 수출, 이제 안전성이 경쟁력이다

임건재 농촌진흥청 유해화학 과장

▲ 임건재 농촌진흥청 유해화학과장. ⓒ2010 더리더/박성현
【서울 더리더】임건재 농촌진흥청 유해화학과장 = 풍요로워질수록 더 좋은 먹거리를 찾는 것는
자연스러운 이치이다. 

  지난 반세기동안 우리 농업은 녹색혁명을 통해 농산물 생산량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국민의 생활수준 또한 높아지면서 안전한 기능성 건강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대되었다.

  이제 소비자들은 보다 깨끗하고, 먹음직스럽고, 안전한 농산물은 찾고 있는 것이다.

  식품 및 환경에 대한 안전성 문제는 전세계적으로 뜨거운 쟁점으로 부각되어, 자국의 환경보호와 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여러 가지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규제를 하고 있다.

  일본에서도 2006년부터 새로운 잔류농약감시제도인 포지티브 리스트 시스템(PLS, Positive List System)를 도입하여 규제대상 유해물질 종류를 대폭 확대하고, 기준이 설정되지 않은 농약 등에 대하여 0.01ppm이라는 일률적인 기준치를 적용함으로써 수입농산물에 대한 규제와 검역기준을 대폭 강화한 바 있다.

  이렇듯, 농식품에 대한 안전관리가 각국의 비관세적 무역장벽으로 활용된 것은 오랜 사실이다. 우리 역시 어렵사리 수출 길에 올랐던 신선농산물이 해당 국가의 검역의 벽을 통과하지 못하거나 까다로운 검역 절차로 인한 신선도 저하로, 경쟁력을 발휘하지 못했던 뼈아픈 경험들을 안고 있다.

  이에, 우리 정부는 안전한 농식품의 생산과 공급체계구축을 위해 농산물우수관리제(GAP), 이력추적관리 및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을 중심으로 국제적 기준을 충족하는 안전관리시스템을 도입하였다. 

  농촌진흥청에서는 농약, 중금속 등 유해물질의 다성분 신속분석에 의한 안전관리와 곰팡이독소, 식중독균 등 유해생물의 저감화, 농약‧비료 사용량 절감 등, 농식품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연구개발과 교육홍보에 매진하고 있다.

▲ 임건재 농촌진흥청 유해화학과장. ⓒ2010 더리더/박성현

  또한, 2004년부터는 주요 수출대상국가의 농약 등록현황과 규제사항 등에 대한 최신정보를 수집하여, “국가별 수출농산물 농약사용지침”을 발간하여 매년 2,000여 수출농가와 500여 관련단체에 제공하고 있다.

  농식품의 수출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정부의 노력 뿐 만 아니라, 생산 농가와 수출업체에게도 검증되지 않은 농자재의 사용을 자제하고, 안전사용기준의 준수와 농자재 사용내역을 상세히 기록하는 등의 변화된 자세가 요구된다.

  앞으로, 세계 인구의 증가, 경제의 발전, 기후 변화 등으로 식품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며, WTO/DDA, FTA 협상이후에는 국제 규격기준에 적합한 안전 농식품만이 수출입이 가능할 것이다.

  정부의 정확한 식품안전정보 제공과 생산자와 소비자의 의식있는 노력으로 자동차보다 더 큰 식품시장에서 우리 농산물이 인정받고, 더 나아가 우리나라가 농식품강국으로 부상하는 날이 조속히 오기를 기대해 본다.

  박성현 기자 grace5163@korea.com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