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 기자명 전경해 기자
  • 의회
  • 입력 2017.11.07 18:31

박윤미 도의원 “강원도형 버스 준공영제 도입 필요”

제269회 강원도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

박윤미 강원도의회 의원(자료사진). 전경해 기자

  (춘천 더리더) “시내버스 체질개선 필요, 강원도형 버스 준공영제 도입 필요”

  박윤미 강원도의회 의원이 7일 제269회 강원도의회 임시회 제1차본회의에서 ‘강원도형 버스 준공영제 필요성에 대해’라는 주제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이같이 역설했다.

  ◇ 다음은 박윤미 강원도의원 5분 자유발언 전문.

  저는 오늘 강원도형 버스 준공영제의 필요성에 대해 말씀 드리고자 이 자리에 섰습니다.

  먼저 시내버스의 운영 체계를 보면 화면에서 보시다시피 민영제와 공영제, 그리고 준공영제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민영제는 민간사업자가 운영하고, 공영제는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체계고, 준공영제는 공영제와 민영제가 혼합된 방식입니다.

  저는 우리 강원도의 경우는 현재 일부 준공영제의 시스템을 갖고 있다고 봅니다.

  왜냐하면 도에서 비수익노선에 49억, 농촌.산간 벽지노선에 6억, 그리고 각 시군의 시내버스 보조금 까지 합하면 300억원이 넘게 매년 재정 지원을 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준공영제는 아니지만 엄청난 보조금을 지원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아시다시피, 우리 도내의 시내버스 파업소식이 언론보도를 통해 종종 알려지고 있습니다. 지난 7월에는 원주의 시내버스가 13일동안 멈췄었습니다. 버스 운행이 중단돼 시민들의 불편이 심각했습니다.

  평창군도 농촌 지역을 운행하는 버스가 4달 동안이나 파업하는 바람에 그 피해는 오롯이 군민들에게 돌아갔습니다.

  지금과 같은 상황이라면 앞으로 도내 시내버스의 파업이 언제 또 터질지 모르겠습니다. 버스 노동자들이 파업을 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환경은 아닌지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도내 시내버스의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만은 틀림없는 사실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10월 30일에 도내 시군의 버스 업체대표와 노조 대표, 관련 공무원, 전문가등이 참석한 가운데 버스 준공영제 도입에 관한 토론회를 열었습니다.

  준공영제 도입에 대해, 공식적으로 테이블에 올려놓고 의견을 나누는 첫 번째 자리였는데, 열기가 뜨거웠습니다.

  저도 이날 토론자로 참석했는데요. 다양한 의견이 나왔습니다.

  결론은 버스 업체 대표나 노조 대표나 모두 준공영제를 간절히 원하고 있었습니다.

  준공영제를 시행한 지역의 설문조사를 보면 준공영제 시행 후, 교통사고가 30% 감소했고, 시민들에게 친절하게 서비스하고, 버스기사분들의 처우 개선과 영업이익의 증가 등 여러 가지 장점이 많았습니다.

  그러다 보니 교통약자의 복지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면 버스 준공영제를 시행해야 한다는 강력한 주문과 강원도에서도 안 할 이유가 없다고 한목소리를 냈습니다.

  하지만 준공영제 도입에 있어 가장 중요한 걸림돌은 재정부담이 지금보다 초기에는 엄청나게 늘어날 것이라는 부분과 표준운송원가 산정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부분입니다. 보통 2년 정도 걸리고 심지어 청주시는 2015년 3월부터 지금까지아직도 원가산정에 합의를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합니다.

  현재 전국적으로 준공영제를 도입한 지자체는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이고, 제주도가 얼마 전에 도입했습니다. 제주도에서 준공영제를 하면서 850명의 기사를 뽑는 바람에 도내에서도 제주도로 간 버스 기사님이 20명이 넘는 다고 합니다.

  강원도의 버스 구조와 상황을 보면 다들 인지하시다시피 열악한 상황입니다.

  저출산으로 인해 인구가 줄다보니, 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는 점점 줄어 운송 수입은 감소하고 있습니다. 실제 버스 기사분을 구하기가 점점 힘든 상황에, 인건비와 유류비는 증가하고 있고, 게다가 최저시급의 인상으로 대부분 운영자금난을 겪고 있습니다.

  도내에 제대로 수익이 나는 버스노선은 손에 꼽을 정도입니다. 대부분 적자 노선이라서, 운행을 기피하고 수익 노선에만 집중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결론을 말씀 드리겠습니다.

  이제 우리 도에서도 전반적인 버스에 대해 체질개선이 필요한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지난해에 준공영제에 대한 용역을 실시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강원도 전체를 준공영제로 실시하려면 준비기간만 아마 앞으로 몇 년이 더 필요할지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원주나 춘천, 강릉, 평창, 횡성 등 도내 한 두 개 지역을 선정해, 우선 시범적으로 준공영제를 운영해 보고, 면밀히 평가한 후 도내 전체에 단계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제안합니다.

  더 이상 지체하기 보단 지금부터 지자체와 협의해서 준공영제 실시 방안을 적극적으로 마련하길 촉구합니다. 잇따르는 버스 파업으로 인해 일부 시.군에선 진지하게 준공영제 시행을 검토하고 있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시.군에서 준공영제를 원하는 곳이 있다면 주도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도가 적극 지원해주는 방안도 찾아주길 부탁드립니다.

  전경해 기자 jkh@theleader.kr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