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 기자명 더리더편집부
  • 기고
  • 입력 2018.07.10 09:54

다음 세대에 ‘태백’을 남겨 줘야 하지 않을까?<상>

도시재생 선도 도시 태백, ‘압축도시’로 재생을

박병기 태백시청 경제정책과 기업지원담당. 더리더 편집부

  (태백 더리더) 박병기 태백시청 경제정책과 기업지원담당= 최근 사회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지방소멸’은 태백만의 문제가 아니다.

  중소도시가 가지고 있는 대한민국의 고질병이다.

  통계자료에 따르면 오는 2072년이면 저출산, 고령화, 저성장, 4차 산업혁명은 수많은 도시를 역사의 추억 속으로 사라지게 할 것이다.

  변화의 기류를 감지한 문재인 정부는 지방중소도시를 살리기 위해 본격적으로 ‘한국형 말뫼’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말뫼는 스웨덴의 조선업 도시로 현대중공업에 조선소 크레인을 1달러에 팔 정도로 쇠퇴한 도시였다.

  하지만 끊임없는 노력으로 IT 기업 500개를 유치하면서 도시재생의 모델 도시가 됐다.

  이처럼 지방중소도시는 현재, 생존의 기로 아래 ‘지방소멸’ 이라는 암 투병을 하고 있다.

  중병을 앓는 지방의 소멸을 막아보고자 하는 심정에서였을까.

  정부는 과감히 ‘도시재생’ 이라는 처방전을 꺼내들었다.

  처방전에 따라 정부는 앞으로 도시재생사업에 1년에 10조원씩 5년간 50조원을 지방중소도시에 투입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이는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예산 22조2,000억원 보다 많다. 실로 엄청난 규모이다.

  하지만 연간 10조 원이라는 ‘돈’으로만 완치될 수 있을까?

  낡음과 쇠퇴는 다르다. 단순히 도시를 새것으로 리모델링한다고 삶의 질이 높아지고, 인간 중심의 도시로 재생될 것인가도 고민해야 한다.

  현재, 태백시는 정부의 정책 흐름을 타고 지난 2017년 장성지역 도시재생사업으로 449억원을 확보했다.

  예산확보를 위해 노력한 동료 공직자들에게 박수를 보내지만, 한편으로 ‘태백시의 지방소멸을 막을 수 있을까?’, ‘늦출 수 있을까?’라는 의문은 끊이지 않는다.

  이는 태백의 역사를 살펴보면, 의문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었다.

  태백의 기본산업은 광업이다. 2016년 통계 자료에 따르면 광업 종사자 수는 989명이다. 석탄산업의 전성기 시절에는 인구 12만 명에 47개의 광업소가 가동됐다.

  태백경기는 ‘개도 만 원짜리를 물고 다닌다’고 할 정도로 황금활황기를 맞이한 적이 있다.

  석탄산업의 사양화로 인해 2018년 6월 기준, 태백시 인구는 45,558명이다.

  현재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의존형 산업의 끝이 ‘스스로 자립할 수 없다는 것이다’라는 교훈을 얻었다.

  물론, 강원랜드 직원들이 태백에 거주함으로써 ‘고착형 도시’로 분류되지만, 2025년 폐특법 만료, 대체산업의 유치 및 육성 없이는 거주인구 4만 명이 붕괴되는 것은 시간문제이다.

  분명한 것은 도시재생 사업에 대한 철학이 없이는 앞으로 지방소멸에 봉착할 것이다.

  다음 세대에 태백을 남겨주기 위해서는 반드시 도시재생을 성공해야만 한다<2편(중)에서 계속>.

  <<본 내용은 더리더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편집자 주>>

  더리더 편집부 theleader2011@naver.com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