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 기자명 이태용 기자
  • 기고
  • 입력 2011.09.06 00:11

성희직 시인 “강원랜드 문제는 4개시군 늘 동상이몽”

정선진폐상담소장

▲ 성희직(시인) 정선진폐상담소장. ⓒ2011 더리더/이태용
  (태백 정선 더리더) ‘개도 만원짜리 지폐를 물고 다녔다’는 말이 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탄광지역이었던 고한·사북, 태백과 도계지역의 전성기가 그랬다.

  오후 시간 시장 통은 사람들에 떠밀려 다닐 정도로 북적였고 술집거리는 밤을 잊고 흥청거렸다.

  70~80년대 그토록 좋았던 ‘봄날’은 석탄산업합리화 정책으로 급격한 공동화(空洞化)와 폐허로 변해갔다.

  닮은꼴 탄광지역인 고한·사북·태백, 삼척 도계지역 모두가 그랬다.

  지역풍경과 주민들의 삶의 모습도 비슷한 이들 탄광촌은 시차(時差)를 두고 대정부투쟁을 벌였다.

  1995년 3.3생존권투쟁을 벌인 고한·사북, 1999년 12.12생존권투쟁을 하였던 태백, 2000년 10.10엔 도계에서 생존권투쟁을 벌였다.

▲ 1일 오후 3시 태백 중앙로에서 시민 5천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태백현안대책위원회가 개최한 ‘태백시민 생존권 수호 대정부투쟁 총궐기대회’에서 시·도의원들이 삭발로 단호한 투쟁의지와 시민단결을 호소하고 있다. ⓒ2011 더리더/이태용
  철도점거, 관공서 점거시도, 자녀등교거부, 삭발, 단식투쟁, 상가철시 등 투쟁방법까지 ‘닮은꼴’이었다.

  우연의 일치인지 정부당국과 ‘합의한 날’마저 고한사북은 3월3일, 태백은 12월12일 도계는 10월10일로 월과 날이 같은 숫자였다.

  총궐기투쟁에 동참한 주민들의 사생결단 투쟁분위기도 대단했다.

  어느 지역 할 것 없이 사회단체와 주민들도 한마음 한뜻으로 동참하였다.

  고한사북은 3.3투쟁으로 강원랜드가 들어섰고, 태백은 12.12투쟁이후 오투리조트와 E-시티사업 등을, 그리고 도계는 10.10투쟁을 통해 블랙밸리골프장과 스위치백리조트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대정부합의 당시 지역발전에 대한 기대와 희망으로 만세를 불렀던 사람들이 실망으로 바뀌는 데는 10년도 채 걸리지 않았다.

▲ 1999.12.12 태백시민 생존권 쟁취 총궐기대회(자료사진) ⓒ2011 더리더/이태용
  이러한 대규모사업 추진에도 불구하고 인구감소는 계속되고 있고 지역경기가 바닥으로 떨어진 때문이다.

  지역의 상징인 이들 사업은 지역사회의 ‘힘 있고 빽 가진’ 몇몇 사람들에게 밥자리는 만들어 주었지만 주민들에겐 상대적 박탈감만 키워놓았다.

  특히 태백시는 오투리조트 사업 실패로 수천억원 빚 갚기에 전전긍긍이다.

  급기야 태백시현안대책위원회(이하 현대위)가 총대를 메고 나섰다.

  황지연못에서 ‘태백살리기 대정부투쟁’ 출정식을 가진데 이어, 9월1일 태백 중앙로에서 대규모 궐기대회를 벌였다.

  △3000명 고용 대체산업 유치 △장성광업소 장기가행을 위한 석탄산업법 개정 △국민안전체험테마파크 정부운영 △강원랜드 폐광지역 균형투자 등을 요구조건으로 내걸었다.

▲ 강원 정선군 고한·사북·남면지역 생존권 쟁취를 위한 1995.3.3 투쟁(자료사진). ⓒ2011 더리더/이태용
  5천여 시민들이 한자리에 모여 ‘파멸이냐! 생존이냐!’는 피켓을 들고 절박한 태백지역 실정을 외면한 정부의 무관심에 분노를 표출하였다.

  김연식 태백시장, 이문근 시의회의장 등 30여명이 집단삭발을 통해 결연한 대정부 투쟁의지를 보여주었다.

  태백이 죽어가고 있음을 상징하는 상여가 등장하고 진폐환자들은 광부복장을 하고서 투쟁대열에 동참하였다.

  이러한 ‘태백살리기투쟁’은 어떤 결실을 거두게 될 것인가?

  태백시민들의 동참분위기와 투쟁의지도 1999년 12.12때만도 못하다는 시민여론도 분분하다.

▲ 1999.12.12 태백시민 생존권 쟁취 총궐기대회(자료사진) ⓒ2011 더리더/이태용
  더욱이 총궐기대회 자리에 인근 정선·영월·삼척 등 폐광지역의 동참이 전혀 없었다.

  이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태백시민 1천명이 덜 참여하더라도 인근지역에서 몇 십명 대표단이라도 참여하는 것이 여론조성과 정부압박에 훨씬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왜 힘을 보태야할 인근지역에서 ‘태백살리기 투쟁’을 외면하는 것일까?

  다름 아닌 ‘강원랜드 폐광지역 균형투자’ 요구조건에 대한 거부감과 불편함 때문으로 보여 진다.

  강원랜드 문제라면 태백·정선·영월·삼척 등 폐광지역 4개시군은 늘 동상이몽(同床異夢)이다.

▲ 강원 정선군 고한·사북·남면지역 생존권 쟁취를 위한 1995.3.3 투쟁(자료사진). ⓒ2011 더리더/이태용
  표면적으론 ‘폐광지역은 한배를 탄 공동운명체’라고 하면서도 내손의 사과는 작아 보이고 남의 떡은 커 보이는 격이다.

  태백시. 정선군, 삼척시, 영월군 모두 ‘강원랜드에서 우리보다 다른 지역이 더 많은 것을 가져가는 것 아니냐?’는 정서가 강하다.

  인근 시군은 태백이 이번 투쟁을 통해 강원랜드에서 많은 것을 가져가면 우리지역 몫이 줄어들지 모른다는 피해의식을 가지고 있다.

  이런 정서를 제대로 읽지 못하면 ‘강원랜드 균형투자’ 문제는 해결되기 어렵다.

  균형투자 문제는 이들 4개시군 간에 협의를 통한 합의가 이루어지면 강원랜드에서도 거부할 명분이 없다.

▲ 1일 오후 3시 태백 중앙로에서 시민 5천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태백현안대책위원회가 개최한 ‘태백시민 생존권 수호 대정부투쟁 총궐기대회’에서 시·도의원들이 삭발로 단호한 투쟁의지와 시민단결을 호소하고 있다. ⓒ2011 더리더/이태용
  그런 만큼 태백투자 당위성에 대해 인근지역 자치단체장이나 의원들을 설득하고 협조를 구하는 일이 우선 되어야 한다.

  특정지역의 일방적인 요구엔 이들 4개시군의 복잡한 이해관계 때문에 강원랜드 사장도 선뜻 나서 해결하고 돕기가 어렵다.

  그럼에도 힘으로 강원랜드를 압박하는 방법은 자칫 지역 간 갈등으로 오히려 문제를 어렵게 만들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해 태백현안대책위의 ‘태백살리기 투쟁’은 투쟁 방향성과 투쟁명분을 정립하는 일부터 우선하는 게 상책이다.

  인근 폐광지역의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어야 대정부 투쟁이 더 큰 성과를 얻을 수 있다. ‘하나’의 힘보단 ‘넷’의 힘이 훨씬 크기 때문이다.(계속)

  <글=성희직(시인) 정선진폐상담소장>

  << 본 내용은 더리더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편집자 주>>

  이태용 기자 lty@theleader.kr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